<<OSPF - 기본특성>>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- Open Shortest Path First
- Open : 표준 개방형
- Shortest Path First : SPF 알고리즘 사용 (최단거리 우선)
- Link-State
- 인접성이 맺어진 라우터 상호간 라우팅 업데이트 실시
- Link 변화시 변화된 부분에 대해서 부분적인 업데이트 실시
- 변화가 없으면 업데이트를 실시하지 않는다.
- classless
- SubnetMask를 참조 한다.
- VLSM, CIDR지원한다.
- IP환경에서 확장성이 좋다.
- AD (Adinistrative Distance) : 110
- Metric : Cost값 = 거리비용(10^8/Link당 B/W)
- 업데이트 전송방식 : Multicast (224.0.0.5, 224.0.0.6)
- 로드분산 : 균등로드분산 (4~6)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<<OSPF 사용 packet - Hello>>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- Neighbor를 찾고 인접성의 조건이 일치하면 인접성을 맺고
인접성의 관계를 유지하는데 사용
- 들어있는 내용
- Area-ID *
- Hello/Dead interval *
- Authentication *
- Stub *
- Router-ID
- DR/BDR
- OSPF Priority
- Neighbor 정보
- '*'가 표시된 조건은 모두 매칭이 되어야한다.
Hello interval Dead interval DR/BDR
- Broadcase 10초 40초 자동선출
- NBMA 10초 40초 수동선출
- Point-to-point 30초 120초 선출X
- Point-to-mutipoint 30초 120초 선출X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<<OSPF 사용 packet - DBD(DataBase Distance)>>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- DB -> EIGRP의 topology table 해당
- Area를 등급별로 관리
- OSPF는 LSDB(Link-State DataBase)를 동기화 하기 위해서
LSA(Link-State Advertisement)를 교환한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<<OSPF 사용 packet - LSR(Link State Request)>>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- 상세정보 요청 Packet
- OSPF는 자신의 LSDB에 있는 정보보다 최신정보를 발견하게 되면
Neighbor router에게 LSR을 통해서 상세한 정보를 요청한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<<OSPF 사용 packet - LSU(Link State Update)>>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- LSR에 대한 응답 Packet
- LSU를 전송할 때 LSA도 같이 전송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<<OSPF 사용 packet - LSA>>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- DBD, LSR, LSU에 대한 확인 Packet
- LSDB를 동기화 하기 위한 LSA(Link-State Advertisement)와는 다른 Packet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<<OSPF 관리기법- 2계층 디자인 모델>>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cf) EIGRP의 경우는 AS단위로 관리는 하였다.
- Area 단위를 사용하는 이유
- LSDB를 동기화 하기 위한 LSA의 플러딩의 범위를 줄이기 위해서
- Area 단위를 사용하기 위한 기본조건
1. 같은 Network는 같은 Area안에 포함되어야 한다.
주의) Router 단위가 아님!! 한 Router가 여러 Area에 겹치는 구조
Area가 나누어진 그림이 Router를 자르면서 그려진다.
2. 모든 Area는 Area0을 경유(인접)해야 한다.
참고) Area0을 경유 해야하나 Virtual link로
- ABR (Area Boundary Router)
- Area와 Area사이에서 두 Area의 LSDB를 동기화하고 중계하는 역할
- ASBR (Area System Boundary Router)
- 다른 라우팅 프로토콜을 쓰는 라우터와 연결된 라우터
- 외부 경계 사이에서 외부정보를 OSPF Domain으로 전파하는 역할
- 라우팅 테이블에 O E 1 또는 O E 2라고 표기 된다.
- E는 External의 약자
- O E 1 (누적 metric)
- O E 2 (고정 metric)
- Backbone Area : Area0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<<OSPF - DR/BDR>>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- DR (Deginated Router): 일종의 반장^^라우터개념
- BDR (Backup DR) : 부반장..
- DR 이 아닌 라우터가 DR로 통신 할때는 224.0.0.6을 사용
- DR 이 DR 아닌 라우터를 쓸때는 224.0.0.5를 사용
- DR/BDR 선출 기준
- 높은 우선순위 (Priority) 0~255 중 큰 값을 가진 라우터가 DR로 선출되고
- 두번째로 큰 값을 가진 라우터가 BDR로 선출된다.
- Default priority = 1
- priority정하는 방법
- 해당 interface에 들어가서
- ip ospf priority [0~255]
- Priority=0 은 그 라우터는 DR 에서 절대 제외하겠다는 의미!
- DR/BDR을 선출하는 Network환경
- Broadcast - 선출함 (자동선출)
- NBMA - 선출함 (수동선출)
* Non-Broadcast Multi Access라고 하며 말 그대로 브로드캐스트가 없는 다중접속 환경
- DR/BDR을 선출하기 않는 Network환경
- Point-to-Point 선출 안함
- Point-to-Multipoint 선출 안함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<<OSPF - Router ID 관리목적상 선출>>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-Router ID 우선순위
- 'Router-ID' command 직접사용
- 직접 선출 하지 않을때
- 해당 Router에 Loopback interface가 있다면 Loopback interface안에 IP가
Router-ID로 등록
- 해당 라우터에서 가장 큰 IP가 Router-ID로 등록
- 한번 자동 설정되면 안 변한다.
ex) 없던 lookback이 생겨도 기존 Router-ID안바뀜
- 설정된 ip 주소가 없으면 OFPF자체가 안뜬다.
- loopback 이 여러개인이면 그중 가장 큰..
E 0/0 : 192.168.100.11
S 0/0 : 172.16.44.168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<<OSPF 관련명령어>>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- 기본 설정하기
R2(config)#router ospf 1698
R2(config-router)#router-id 2.2.2.2
R2(config-router)#network 2.2.2.2 0.0.0.0 area 0
R2(config-router)#network 177.64.217.138 0.0.0.0 area 0 (IP로 설정)
R2(config-router)#network 218.164.238.96 0.0.0.31 area 0 (Network로 설정)
- show ip route ospf
- show ip protocol
- Neighbor 테이블 보기
R2#sh ip ospf neighbor
Neighbor ID Pri State Dead Time Address Interface
3.3.3.3 0 FULL/ - 00:00:39 177.64.217.150 Serial1/0
1.1.1.1 0 FULL/ - 00:00:34 177.64.217.137 Serial1/1
** DR있으면 State항목에 DR 혹은 DR other라고 표시 된다.
** 자신이 DR이면 DR other라고 보이겠지..
- Database 테이블 보기
R2#sh ip ospf database
OSPF Router with ID (2.2.2.2) (Process ID 1698)
Router Link States (Area 0)
Link ID ADV Router Age Seq# Checksum Link count
1.1.1.1 1.1.1.1 320 0x80000004 0x0016B5 4
2.2.2.2 2.2.2.2 230 0x80000006 0x0098FE 6
3.3.3.3 3.3.3.3 64 0x80000004 0x00BFBA 4
- Area가 다를 때 라우팅 테이블 모습
Gateway of last resort is not set
1.0.0.0/24 is subnetted, 1 subnets
C 1.1.1.0 is directly connected, Loopback0
2.0.0.0/32 is subnetted, 1 subnets
O 2.2.2.2 [110/65] via 146.241.218.138, 00:00:22, Serial1/0
3.0.0.0/32 is subnetted, 1 subnets
O IA 3.3.3.3 [110/129] via 146.241.218.138, 00:00:22, Serial1/0
146.241.0.0/30 is subnetted, 2 subnets
O IA 146.241.218.148 [110/128] via 146.241.218.138, 00:00:22, Serial1/0
C 146.241.218.136 is directly connected, Serial1/0
176.238.0.0/16 is variably subnetted, 3 subnets, 2 masks
C 176.238.194.128/26 is directly connected, Ethernet0/0
O IA 176.238.194.192/27 [110/138] via 146.241.218.138, 00:00:22, Serial1/0
O IA 176.238.194.64/27 [110/74] via 146.241.218.138, 00:00:22, Serial1/0
* IA 는 다른 Area에 있다는 의미!
- OSPF에서는 Lookback은 호스트본다. 그래서 위와같이 subnetmask가 32가온다.
- 그래서 type을 변경해주어야한다.
R2(config)#int lo 0
R2(config-if)#ip ospf network point-to-point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<<OSPF관련 명령이미 선출된 router-id 변경하기>>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- router 에 들어가서 router-id 명령으로 새로 입력하고
- ospf 리셋
R3(config)#router ospf 2439
R3(config-router)#router-id 3.3.3.3
Reload or use "clear ip ospf process" command, for this to take effect
R3(config-router)#end
R3#clear ip ospf process
Reset ALL OSPF processes? [no]: y
참고) clear 명령은
clear ip eigrp neighbor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<<OSPF관련 명령- 다른 라우팅 프로토콜과 연동하기>>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- 다른 라우팅 프로토콜을 쓰는 interface가 있는 라우터에서
R2(config)#router ospf 3608
R2(config-router)#redistribute rip subnets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<<OSPF관련 명령- 주소요약 하여 보내기>>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- 내부 경로 요약
- Interface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 라우터에서 한다!
- ASBR
R2(config)#router ospf 3608
R2(config-router)#area 0 range 100.1.0.0 255.255.240.0
- 외부 경로 요약
- 다른 라우팅 프로토콜을 쓰는 경우
R2(config)#router ospf 3608
R2(config-router)#summary-address 172.16.10.0 255.255.224.0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'Network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9. 스위치 (0) | 2015.01.24 |
---|---|
8. NAT (0) | 2015.01.24 |
6. EIGRP (0) | 2015.01.24 |
5. ACL (0) | 2015.01.24 |
5. ACL - Wildcard Mask 문제 (0) | 2015.01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