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Networking

2. 라우팅 프로토콜 개념

<<Routing Protocol>>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- Static

- Dynamic

    - Distance vector: RIP_1, IGRP  (=>Class full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RIP_2, EIGRP (->Classless )

    - Link-state     : OSPF, IS-IS  (->Classless )


** 위의 큰 틀은 꼭 외우고 있자!


- Static

    - 관리자가 라우터의 경로를 일일히 입력

    - 소형 네트워크에서 사용

    - 시험에는 시뮬에는 안나온다!

    장점 : 라우팅 업데이트를 하지 않는다.

           장비에 성능이 향상 / 장비에 부담을 안준다.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
<<Static Routing 설정>>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- ip route [목적지network] [subnetmask] [next_hop주소]

ex) ip route 192.168.5.0 255.255.255.0 192.168.2.2


- 기본설정후에 각 interface에 설정된 next hop 라우터까지 C로 연결이 되고

- next hop 이상의 모르는 경로는 ip route로 일일히 입력


rack08r2(config)#ip route 192.168.1.0 255.255.255.0 192.168.2.1

rack08r2(config)#ip route 192.168.5.0 255.255.255.0 192.168.4.2


rack08r2(config)#show ip route

C    192.168.4.0/24 is directly connected, Serial0/0

S    192.168.5.0/24 [1/0] via 192.168.4.2

S    192.168.1.0/24 [1/0] via 192.168.2.1

C    192.168.2.0/24 is directly connected, Serial0/1

C    192.168.3.0/24 is directly connected, Ethernet0/0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
<<Dynamic Routing Protocol - 개념1>>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- 라우터 상호간(neighbor) 라우팅 업데이트 실시

- 업데이트 정보안에는 Metric, Next-Hop 정보포함

   ** Metric : 목적지까지가는데 얼마나 걸리나 정보, Metric이 가장 작은 쪽 통신

               Metric은 라우팅 프로토콜마다 계산법이 다르다.

- 네트워크의 구성 및 설정 관리가 효율적인다.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
<<Dynamic Routing Protocol - 개념2>>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- Distance Vector (RIPv1,v2,IGRP,EIGRP)

    - 주기적으로 Neighbor Router에게 라우팅 업데이트를 실시(전체정보)   -> 단점!

    - 변화가 없어도 주기적으로 Neighbor Router에게 라우팅 업데이트 실시 -> 단점!

    -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하고 확장성이 떨어진다.

        -> 전체정보갱신으로 작은 변화가 전체로 퍼지는데 소모도 많고 시간도 많이 걸림!

    - 장비의 CPU소모율 증가


- Link-State (OSPF, IS-IS)

    - Distance Vector의 단점을 보완한 알고리즘

    - 인접성(Adjacency)이 맺어진 라우터 상호간 라우팅 업데이트 실시

    - Link변화시 변화된 부분(추가,변경,삭제)에 대해서 부분적인 업데이트 실시 

        -> 최초 한번은 전체 업뎃!

    - 변화가 없으면 기본적으로 어떤 업데이트도 실시하지 않는다.

    - 장비의 CPU소모율 감소

    - 대규모 네크워크 환경에 적합하고 확장성이 좋다.    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

<< Classfull >>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- Classfull

    - SubnetMask를 참조하지 않는다.

        -> 오래전에는 Ip가 남아돌아서 subnet을 고려하지 않았다.

    - 그래서 IP에대해서 Class로 구분.

        -> 192.168.1.32/27 =>그냥  192.168.1.0/24 (C Class)

    - Class경계사이에는 Classfull 자동요약 실시


    예) 다음과 같은 4개의 Router 망에서..


       --172.16.0.0/16 ---->     <----10.0.0.0/8로 업데이트--

    172.16.1.0/24       192.168.1.0/24         10.1.1.0/24

R1----------------R2----------------------R3------------------R4


    - Class가 단절된 구간에서는 업데이트가 실시되지 않음

        -> 부분적 업데이트만 가능


    예) 다음과 같은 구성에서 R2에서 10.0.0.0 대역 주소가 라우팅안됨!

     

        172.16.1.0/24       192.168.1.0/24

     R1----------------R2----------------------R3

10.1.1.0/24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10.10.2.2/24

    --10.0.0.0/8 ---->     <----10.0.0.0/8로 업데이트--

          


    -VLSM, CIDR 지원하지 않는다.

        -> SubnetMask 참조 없기때문에 당연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   



<< Classless >>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   

- Classless

    - 서브넷 마스크를 참조한다

    - 192.168.1.32/27---->192.168.1.32/27

    - VLSM CIDR지원한다

    - IP환경에서 확장성이 좋다.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

<<AD (Administrator Distance)>>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- 여러개의 Routing 프로토콜이 같이존재하며 동작중일때, 동작할 Routing 프로토콜

  의 우선순위


- 낮은값이 높은 우선순위를 말한다.

    Staic  - 1

    RIP    - 120


- show ip route로 봤을때, 아래 괄호 사이에 [AD, Metric] 이렇게 표시된다.

    예)    R    192.168.5.0/24 [1/0] via 192.168.4.2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

'Network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5. ACL  (0) 2015.01.24
5. ACL - Wildcard Mask 문제  (0) 2015.01.24
4. IGRP  (0) 2015.01.24
3. RIP_v1 routing protocol  (0) 2015.01.24
1. 라우터 기본 명령어  (0) 2015.01.2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