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<IGRP>>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- Cisco 전용 Routing Protocol
- Distance Vector 임
- 주기적으로 neighbor Router Update실시 (전체정보)
- 변화가 없어도 주기적으로 Neighbor Router에게 Routing Update실시
- IGRP Timer
- Update 주기 : 90초
- Invaild Time : 270초
- Holdown time : 280초
- Flushed Time : 630초
- Classfull 임
- subnetMask를 참조하지 않는다.
- IP에 대해서 Class로 구분 192.168.1.69/27 -> 192.168.1.0/24 로 인식
- Class 경계에서는 자동 요약 실시
- Class가 단절된 구간에서는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다.
- VLSM, CIDR 지원하지 않는다.
- AD(Administrative Distance) : 100
- Metric : Bandwidth, Load, Delay, Relability, MTU 총 5가지 종류 사용가능하나
- sh int e 0 로 보이는 정보
- 주로 Bandwidth나 Delay를 사용
- IGRP B/W + IGRP Delay
- IGRP B/W : 10^7/목적지까지 가기위한 최소의 B/W
- IGRP Delay : 목적지까지 Delay의 합 / 10
- K상수 : K1 = 1, K2 = 0, K3 = 1, K4 = 0, K5 = 0 (위 5가지 종류)
ex)
- IGRP B/W + IGRP Delay = (10^7 / 56000) + (6000/100)
- 로드분산 : 균등 / 비균등 로드분산 지원 (4~6)
- 균등 :
- 비균등 : 최적경로 와 metric이 달라도 인정
-> 모든 경로가 선택된는 것이 아니고 최적경로 x ?값 보다 좋은 경로로 로드 분산
-> ?값은 사용자가 정한다.
ex) Rx ~ Ry
- 업데이트 전송방식 : Broadcast (255.255.255.255) 방식
- AS (Autonomous System) : 1 ~ 65535 - Router들의 집합 또는 모임
* IGP vs EGP
- IGP : 라우터들을 AS 그룹으로 나누어서 관리 -> 빠르게 가는 것이 목적
ex) 지역 전화 번호 (서울이 한 AS..._)
- EGP : 한번에 많은 양을 업데이트 하며 어떠한 정책하에 관리
- 우리가 배우는 것은 모두 IGP!!!
- AS 가 다르면 통신이 안된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'Network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. ACL (0) | 2015.01.24 |
---|---|
5. ACL - Wildcard Mask 문제 (0) | 2015.01.24 |
3. RIP_v1 routing protocol (0) | 2015.01.24 |
2. 라우팅 프로토콜 개념 (0) | 2015.01.24 |
1. 라우터 기본 명령어 (0) | 2015.01.24 |